☞ 육모정지킴터-해골바위-거북바위-코끼리바위-헬기장-시루떡바위-영봉-염소바위-공기돌바위-합궁바위-백운대2공원지킴터
상장능선 왕관봉을 오르면서 마당바위 조망터에서 뒷편의 해골바위능선이 조망됩니다.
육당 최남선 선생이 집필활동에 전념하였던 고택터에 있던 "소원바위"
약수터
신검사와 우이령길
도봉산 (740m)
도봉산은 서울의 도봉구와 경기도 양주군, 경기도 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740m 높이의 큰 산이에요. 불룩불룩 솟은 하얀 화강암 바위와 소나무가 뒤엉켜 있어요. 도봉산은 옛날부터 아름답기로 유명해서 경기의 금강이라 불렸어요. 도봉산은 북한산과 함께 1983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깨끗한 자연 경관을 유지하고 있지요.
도봉산 최고봉인 자운봉에 오르면 숨이 확 트이면서 감탄사가 절로 나와요. 특히 붉은 해가 질 무렵 자운봉에 서면 그 아름다운 장관에 사람들은 말을 잊지요. 그 아름다움 때문인지 도봉산에는 조상들의 자취가 많이 남아 있어요.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고 찾아와 절의 이름을 바꾸었다는 회룡사,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원각사, 우이동 들머리에 있는 원통사, 김구 선생이 잠시 피신했던 석굴암 등이 도봉산 자락에 살포시 숨어 있지요.
해골바위 (얼굴과 하단의 구멍부분이 해골을 입을 닮았다고...)
북한산 해골바위 [ 北漢山骸骨바위 ]
북한산에 숨은벽능선에 있는 바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방면의 북한산 숨은벽능선에 있는 바위이다. 모양이 사람의 머리뼈(해골)를 닮은 데서 명칭이 유래했다. 숨은벽능선의 해골바위는 위에서 내려다보아야 하는데, 눈처럼 생긴 2개의 구멍에 빗물이 차면 더욱 해골처럼 보인다고 한다. 한편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방면의 용덕사 부근에도 같은 이름의 바위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산 해골바위 [北漢山骸骨-] (두산백과)
숨은벽능선의 해골바위
해골바위 옆면
이곳 오르기가 최고의 난코스
오봉방향 조망
상장능선 9봉인 왕관봉 조망
상장능선 왕관봉 작은코끼리바위
상장능선 왕관바위 방향 조망
(좌)왕관바위 (중)오봉 (우)도봉산 정상
도봉산 정상 지휘소인 선,만,자 줌인
높이는 740.2m이며, 주봉(主峰)은 자운봉이다. 북한산국립공원의 일부로 산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리(節理)와 풍화작용으로 벗겨진 봉우리들이 연이어 솟아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다.
주봉인 자운봉(紫雲峰)에서 남쪽으로 만장봉(萬丈峰)·선인봉(仙人峰)이 있고, 서쪽으로 오봉(五峰)이 있으며, 우이령(牛耳嶺)을 경계로 북한산과 접하고 있다.
도봉동계곡·송추계곡(松楸溪谷)·망월사계곡(望月寺溪谷)을 비롯하여 천축사(天竺寺)·원통사(圓通寺)·망월사(望月寺)·관음암(觀音庵)·쌍룡사(雙龍寺)·회룡사(回龍寺) 등 많은 사찰이 있다. 그 밖에 조선 선조(宣祖)가 조광조(趙光祖)를 위하여 세웠다는 도봉서원(道峯書院)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봉산 [Dobongsan, 道峰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측상단의 바위가 특이합니다
상장능선 왕관봉 방향
지나온 방향 조망
거북바위 사면
거북바위
안올라가고 지나친 것이 아쉽네요.
코끼리바위 조망
코끼리바위
북한산의 영봉 아래쪽에 있는 바위.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방면의 북한산 영봉 아래쪽에 있다. 명칭은 멀리서 보면 거대한 바위의 모양이 코끼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것인데, 보는 방향에 따라 주먹을 쥔 것처럼 보인다 하여 주먹바위라고도 한다. 우이능선을 타고 육모정고개에서 영봉으로 오르는 도중의 헬기장에서 조망하기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산 코끼리바위 [北漢山-] (두산백과)
구멍으로 통과
오봉과 도봉산 정상을 조망
헬기장에서 코끼리바위 원경
시루떡바위
시루떡바위에서 상장능선 조망
북한산 [ 北漢山.835.57m ]
백두산, 지리산, 금강산, 묘향산과 함께 대한민국 오악(五嶽)에 포함되는 명산이다. 세 봉우리인 백운대(白雲臺, 835.57m), 인수봉(人壽峰, 810.5m), 만경대(萬鏡臺, 787.0m)가 큰 삼각형으로 놓여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삼각산(三角山) 또는 삼봉산(三峰山), 화산(華山)으로 불렸고 삼국시대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불렀는데 아기를 등에 업고 있는 형상을 닮았다고 지어진 이름이다. 고구려 동명왕의 왕자인 온조와 비류가 남쪽으로 내려와 자리잡고 살 만한 땅을 고를 때 이 봉우리에 올라 서울의 지세를 살폈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세개의 봉우리에 따온 이름인 삼각산이라고 불렀다. 북한산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서울의 옛이름인 한산(漢山)에서 유래한 것이며 한산의 북쪽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백운대의 남쪽에 있는 만경대는 주변 경관이 좋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국망봉이라 불렸다. 무학대사가 조선의 도읍지를 정할 때 삼각산에 올라서 내려다보고 결정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삼각산은 수도 한양을 방비하는 천혜의 방어막이 되었으며 병자호란을 겪은 효종이 북벌정책의 일환으로 산성을 축성하고자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고 숙종 재위 37년인 1711년에 산성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북한산성(北漢山城)이라고 불렀다. 북한산 능선에는 북한산성이 8㎞에 걸쳐 펼쳐지는데, 평균높이는 7m이며, 14개 성문 가운데 대남문(大南門)·대서문(大西門)·대성문(大成門)·보국문(輔國門)·용암문(龍岩門) 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북한산은 서울 근교의 산 중에서 가장 높고 산세가 웅장하여 예로부터 서울의 진산으로 불렸다. 서울의 북쪽과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있으며 최고봉인 백운봉의 높이는 해발 836.5m이다. 그리고 봉우리는 32개가 있다. 중생대 말기에 지층에 파고든 화강암이 지반의 상승과 침식작용으로 표면에 드러났다가 다시 풍화작용을 받아 험준한 바위산이 되었다. 주봉인 백운대에 오르면 서울 시내와 근교가 한눈에 들어오고, 도봉산·북악산·남산·관악산은 물론 맑은 날에는 강화도·영종도 등 황해의 섬도 보인다. 백운대 북쪽에 있는 인수봉은 암벽 등반 코스로 인기가 높다. 정상부의 산세는 불규칙하다. 그밖에 노적봉(716m)·영봉(604m)·비봉(碑峰:560m)·문수봉(716m)·보현봉(700m) 등 이름난 봉우리만도 40여 개나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산 [北漢山] (두산백과)
영봉[ 靈峰. 604m ]
북한산국립공원의 북한산에 있는 봉우리.
높이는 해발 604m이며 행정구역상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에 속한다. 백운탐방지원센터에서 하루재를 거쳐 이 봉우리를 지나가면 우이능선과 이어진다. 암벽등반 명소인 인수봉을 가장 전면에서 조망할 수 있는 봉우리로서 예전에 이 봉우리 곳곳에 북한산 등반 도중에 숨진 산악인들을 추모하는 비석들이 인수봉을 향하여 세워졌다. 영봉이라는 명칭은 이들 '산악인의 영혼의 안식처'라는 의미가 담긴 것으로 1980년대에 붙여졌다고 한다. 추모비들은 2008년 철거되고 도선사 부근의 무당골에 합동추모비가 세워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봉 [靈峰] (두산백과)
영봉에서 인수봉을 배경으로
북한산 [ 北漢山.835.57m ]
서울특별시 북부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서울의 진산. 명승이다.
백두산, 지리산, 금강산, 묘향산과 함께 대한민국 오악(五嶽)에 포함되는 명산이다. 세 봉우리인 백운대(白雲臺, 835.57m), 인수봉(人壽峰, 810.5m), 만경대(萬鏡臺, 787.0m)가 큰 삼각형으로 놓여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삼각산(三角山) 또는 삼봉산(三峰山), 화산(華山)으로 불렸고 삼국시대에는 부아악(負兒岳)이라고 불렀는데 아기를 등에 업고 있는 형상을 닮았다고 지어진 이름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산 [北漢山] (두산백과)
2007년까지 있었던 영봉 정상석
山을 어디라 손을 대려 하느뇨
山에 들면 가득한 靈氣에 감사할지니
山의 精氣 있으매 푸른 氣運 솟고
山의 自然 있으매 맑은 물도 흘러
우리 생명 더불어 모든 生命 사노니
山이여, 靈峰이시여 萬古不變하여라
詩 鄭孔采. 書 農庵 鄭祥玉. 靈峰命名人 尹柱廣
영봉에서 코끼리바위 줌인
북한산 정상 조망처 명품 소나무
염소바위
UFO바위
북한산 정상 능선과 어우러진 염소바위
공기돌바위
자궁바위
공기돌바위 줌인
합궁바위
석양이 드리운 북한산 정상부
청둥오리
몸길이는 수컷이 약 60cm, 암컷이 약 52cm이다.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있는 짙은 녹색이고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윗가슴은 짙은 갈색이다. 꽁지깃은 흰색이지만 가운데꽁지깃만은 검정색이며 위로 말려 올라갔다. 부리는 노란색이다.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진다. 집오리의 원종이며, 한국에서는 가장 흔한 겨울새이자 대표적인 사냥용 새이기도 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청둥오리 [mallard] (두산백과)
청둥오리 수컷
청둥오리 암컷
'♣ 산행 발자취 > 산행 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 예빈산 (2021.11.10) (0) | 2021.11.11 |
---|---|
용인 석성산-할미산성-향수산-법화산 4산종주 (2021.11.6) (2) | 2021.11.06 |
양주 감악산 하늘길 (2021.11.1) (0) | 2021.11.02 |
도봉산 망월사 단풍 (2021.10.30) (0) | 2021.10.31 |
설악산 상투바위골.귀때기청봉 ② (2021.10.28) (0) | 2021.10.29 |
댓글